캡슐화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데이터가 전송 계층으로 전달되면서 ‘세그먼트’ 또는 ‘데이터그램’화되며
TCP(L4) 헤더가 붙여지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인터넷 계층으로 가면서 IP(L3) 헤더가 붙여지게 되며
‘패킷’화가 되고, 이후 링크 계층으로 전달되면서 프레임 헤더와 프레임트레일러가 붙어 ‘프레임’화가
됨.
비캡슐화
이와는 반대로 헤더나 트레일러가 떼어지면서 전달되는 과정
PDU
• 애플리케이션 계층: 메시지
• 전송 계층: 세그먼트(TCP), 데이터그램(UDP)
• 인터넷 계층: 패킷
• 링크 계층: 프레임(데이터 링크 계층), 비트(물리 계층)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S와 SSL/TLS (0) | 2022.07.25 |
---|---|
HTTP/1.x HTTP2의 차이 그리고 HTTP3 (0) | 2022.07.25 |
주소창에 www.naver.com을 치면 어떻게 될까 ? (0) | 2022.07.25 |
IP주소 (0) | 2022.07.25 |
TCP : 3-웨이 핸드쉐이크와 4-웨이 핸드쉐이크, TIME_WAIT (0) | 202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