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1.x
HTTP/1.0은 기본적으로 한 연결당 하나의 요청을 처리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RTT 증가를
불러오게 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지스플리팅, 코드압축, Base64 인코딩 기술이 있었음. keep
-alive옵션으로 어느정도는 해결. 그러나 HOL을 해결하지 못함.
HTTP/2
SPDY 프로토콜에서 파생되었으며 HTTP/1.x보다 지연 시간을 줄이고 응답 시간을더 빠르게 할 수
있으며 멀티플렉싱, 헤더 압축, 서버 푸시, 요청의 우선순위 처리를 지원하는 프로토콜. HOL을 해결
HTTP/3
QUIC이라는 계층 위에서 돌아가며, TCP 기반이 아닌 UDP 기반으로 돌아 가며 HTTP/2에서
장점이었던 멀티플렉싱 등을 가지고 있으며 초기연결설정시 지연시간 감소라는 대표적 특성과 순방향
오류 수정 메커니즘이라는 특징을 가짐.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우저 렌더링과정 (0) | 2022.07.25 |
---|---|
HTTPS와 SSL/TLS (0) | 2022.07.25 |
캡슐화과정과 비캡슐화과정 그리고 PDU (0) | 2022.07.25 |
주소창에 www.naver.com을 치면 어떻게 될까 ? (0) | 2022.07.25 |
IP주소 (0) | 202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