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 컨트롤러 (Player Controller)
1. 플레이어가 입장할 때 게임모드에서 플레이어 컨트롤러라는 특별한 엑터가 배정된다.
// 배정된 플레이어 컨트롤러는 변경할 수 없다.
// 배정된 플레이어 컨트롤러가 폰(Pawn)을 옮겨가는 것은 가능하다.
플레이어 컨트롤러는 게임 세계에서 현실 세계의 플레이어를 대변하는 무형의 액터이다.
게임 세계에서 플레이어와 1:1로 소통하면서 폰(Pawn)을 조종하는 역할을 한다.
언리얼 엔진에서 플레이어가 플레이어 컨트롤러를 통해
폰을 조종하는 행위를 빙의(Prossess)라고 하며 빙의를 하게되면 사용자의 입력이
플레이어 컨트롤러를 거쳐 폰에게 전달되고 폰은 그에 맞게 움직이게 된다.
// 직접 PlayerController를 만들어주지 않아도 임시?로 생성되기에 캐릭터에 입력을 줄 수 있다.
/*
플레이어 컨트롤러가 생성되는 시점은
각 액터의 PostInitializeComponents 함수로 파악할 수 있다.
빙의를 진행하는 시점은 플레이어 컨트롤러의 OnPossess 함수,
폰(Pawn)의 PossessedBy 함수로 파악할 수 있다.
*/
본문 출처 : https://hombody.tistory.com/220?category=861819
[Unreal] - PlayerController
플레이어 컨트롤러 (Player Controller) 1. 플레이어가 입장할 때 게임모드에서 플레이어 컨트롤러라는 특별한 엑터가 배정된다. // 배정된 플레이어 컨트롤러는 변경할 수 없다. // 배정된 플레이
hombody.tistory.com
'Unreal Engine 4 > 블루프린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real BP> UObject와 CDO(Class Default Object) (0) | 2022.04.19 |
---|---|
<Unreal BP> UMG & HUD (0) | 2022.04.19 |
<Unreal BP> UObject와 CDO(Class Default Object) (0) | 2022.04.19 |
<Unreal BP> 애니메이션 포즈(Pose)의 공간 변환에 대하여 (로컬, 컴포넌트 변환) (0) | 2022.04.19 |
<Unreal BP> 에임 오프셋(AO) (0) | 2022.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