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코드
1xx (정보): 요청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한다
2xx (성공):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았으며 인식했고 수용합니다.
- 200 OK : 요청이 성공적으로 되었습니다.
- 201 Created : 요청이 성공적이었으며 그 결과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
었습니다.
3xx (리다이렉션):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가 필요하다
- 301 Moved Perma nently : 이 응답코드는 요청한 리소스의 URI가 변경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변경된 새로운 URI를 응답에서 주는 것이 좋습니다.
4xx (클라이언트 오류):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요청을 처리할 수 없다.
- 400 Bad Request : 이 응답은 잘못된 문법으로 인하여 서버가 요청을 이해할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 401 Unauthorized 클라이언트의 인증이 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5xx (서버 오류): 서버가 명백히 유효한 요청에 대해 충족을 실패했다
- 500 Internal Server Error : 서버에 오류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메서드
- POST : 자원을 생성, 보통 하위자원을 생성하는데. 예를 들어 book 테이블안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음. 성공적으로 생성되면 HTTP 상태 201을 반환
- GET : 읽기, 성공시 200, 오류의 경우 가장 자주 404(NOT FOUND) 또는 400(BAD
REQUEST)을 반환합니다.데이터를 수정, 삭제하는데 반드시 사용하면 안됨
- PUT : 업데이트(전체 자원), 요청을 보낼 때 전체를 보내야 함.
- PATCH : 업데이트(일부 자원), 요청을 보낼 때 수정하는 일부분을 보내야 함.
- DELETE : 삭제
put과 patch의 차이
참고로 'put'과 'patch'의 차이점은, 'put'은 전체 자원의 교체를 의미하고 'patch'는 일부 자원의
교체를 의미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a" : 1, "b" : 2}'가 있을 때b를 3으로 바꾼다고 했을 때
'put'의 경우 '{"a" : 1, "b" : 3}'으로 전체적인 매개변수를 보내고 'patch'는 '{"b" : 3}' 이런 식으로
부분적으로 보내는 것을 말합니다. 응답으로 받는 메시지는 수정된 결괏값과 동일해야 합니다.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선LAN의 기술과 무선LAN의 기술 (0) | 2022.07.25 |
---|---|
네트워크를 이루는 장치의 이해 (0) | 2022.07.25 |
웹브라우저의 캐시 (0) | 2022.07.25 |
브라우저 렌더링과정 (0) | 2022.07.25 |
HTTPS와 SSL/TLS (0) | 202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