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LAN의 기술 : 전이중화 통신, CSMA/CD
- 전이중화(full duplex) 통신은 양쪽 장치가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합니다.
- 이전에는 유선 LAN에 ‘반이중화 통신’ 중 하나인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방식을 썼습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보낸 이 후’ 충돌이
발생한다면 일정 시간 이후 재전송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부록] 유선LAN을 이루는 케이블
무선LAN을 이루는 기술 : 반이중화 통신, CSMA/CA, 와이파이, BSS, ESS
- 반이중화 통신(half duplex)은 양쪽 장치는 서로 통신할 수 있지만, 동시에는 통신할 수 없으며 한 번에 한 방향만 통신할 수 있는 방식
- CSMA/CA는 반이중화 통신 중 하나로 장치에서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캐리어 감지 등으로 사전에 가능한 한 충돌을 방지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과정
- 와이파이(wifi)는 전자기기들이 무선 LAN 신호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기술
- BSS(Basic Service Set)는 기본 서비스 집합을 의미하며, 단순 공유기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아닌 동일 BSS 내에 있는 AP들과 장치들이 서로 통신이 가능한 구조
- ESS(Extended Service Set)는 하나 이상의 연결된 BSS 그룹입니다.
[부록] 무선LAN을 이루는 주파수
무선 LAN(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은 무선 신호 전달 방식을 이용하여 2대 이상의 장치를 연결하는 기술입니다.
비유도 매체인 공기에 주파수를 쏘아 무선 통신망을 구축하는데, 주파수 대역은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 중 하나를 써서 구축합니다.
2.4GHz
- 장애물에 강함
- 호환성 좋음. (오래된 노트북, 휴대폰과도 연결가능)
- 전자레인지, 무선 등 전파 간섭이 일어나기도 함.
- 커버리지가 적음.
5GHz
- 사용할 수 있는 채널 많음.
- 상대적으로 깨끗한 전파환경
- 속도가 더 빠름.
- 커버리지가 작음.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면접 질문 (1) | 2022.09.28 |
---|---|
Computer Network 정리 (1) | 2022.09.28 |
네트워크를 이루는 장치의 이해 (0) | 2022.07.25 |
HTTP의 상태코드와 메서드(GET, POST, PUT, PATCH, DELETE) (0) | 2022.07.25 |
웹브라우저의 캐시 (0) | 2022.07.25 |